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FrCA/btr6rwE6396/gkhFBTHHkS6kLnvETcKvc1/img.jpg)
맥을 처음 사용하게 되면 가장 먼저 접하는 어려움이 한/영 전환일 것입니다.
윈도우에 한/영 전환키가 동작하지 않고 caps lock를 눌러야 하기 때문이죠.
그런데 caps lock를 이용해 한/영 전환을 할 경우 반응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그래서 분명 한/영키를 눌렀음에도 불구하고 전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.
그래서 control + space 를 이용하거나 command + space 를 이용하는 분도 있습니다.
위 처럼 한/영 전환키를 바꾼다 하더라도 윈도우와 맥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분이라면 한/영 변환 때문에 애를 먹을 수 밖에 없습니다.
오늘은 맥의 한/영 전환키를 윈도우와 동일하게 변경하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카라비너 설치
맥의 한/영키를 윈도우 처럼 변경하려면 기본 설정으로는 변경이 불가능하고 카라비너라는 앱을 이용해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YiVC/btr6nXRqAjl/P0KdgpqUU880DHjnSt0NZ1/img.png)
다운로드 주소 : https://karabiner-elements.pqrs.org/
Karabiner-Elements
A powerful and stable keyboard customizer for macOS.
karabiner-elements.pqrs.org
카라비너는 무료 앱이라서 사이트에서 맥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면 되는데 현재 카라비너 최신버전은 14.11.0 으로 벤추라, 몬트레이, 빅서까지 호환됩니다.
카탈리나 이하인 경우 카라비너 하위버전으로 설치하면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nQmo/btr6eTaY0OY/wRo5FUrwNErUk33WQPjMLK/img.png)
카라비너를 설치하면 아래 사진처럼 2개의 앱이 설치되는데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LJVc/btr6pcAqDAE/RkA6NhVI3svXOfKcbFGeL1/img.png)
앱 실행 시 다운로드 받은 앱에 대한 허용을 해주어야 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EfhE/btr6btwMEyZ/f5JephPKIxGC3csgpRVuu0/img.png)
그리고 앱이 키보드 입력을 모니터링 하도록 허용해야 합니다.
아래 사진 처럼 카라비너 관련 3개가 모두 허용되어야 정상 동작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FhZ2/btr6oX4qWPF/YBnu7tbJaDrrtlbcrNNUaK/img.png)
키 설정
karabiner-Elements 를 실행하면 상단 메뉴에 카라비너 로고가 생기는데요.
로고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세팅으로 들어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4jzsC/btr6nWdW1KW/haZDJxNSQCeVfZ1jtGJrk1/img.png)
윈도우의 한/영키에 해당하는 위치가 맥의 오른쪽 commad 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f13 키를 할당하겠습니다.
카라비너 엘리먼츠 세팅 > Simple Modifications > For all devices > Modifier keys : right_command -> Function keys : f13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VzwV/btr6lo9C1it/DxX2zJOhco7Y96eWOBdeBK/img.png)
이제 맥의 언어 전환 키 설정을 ctrl + space 에서 f13으로 변경하겠습니다.
시스템 환경설정 > 키보드 > 단축키 > 입력 소스 > 이전 입력 소스 선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vLJ7/btr6lp1KDrY/oDhivXMJRU2r1RpGopmXz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hSOe/btr6rw6bc9m/VTn5S46hDK7xfxnYavRuN0/img.png)
언어변환 키를 crtl + space 에서 f13으로 변경
원리만 이해하면 간단한 설정인데요.
이제 오른쪽 command를 눌러 한영키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 보세요.
설정한 한/영키로 변경되지 않는다면
만약 위 설정대로 따라 했는데 한/영키 변경이 되지 않는다면 앱의 보안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입니다.
맥을 재시작한 후 카라비너를 실행하면 보안 경고 화면이 나타납니다.
경고화면의 버튼을 클릭한 후 맥의 시스템 환경설정의 보안 메뉴에서 보안설정을 풀어주면 해결됩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한영의 장고(django) 프레임워크 입문 (0) | 2023.04.10 |
---|---|
맥미니가 맥북보다 좋은 점 5가지(클램쉘 모드 기준) (0) | 2023.03.31 |
구형 맥북, 맥미니, 아이맥 속도 최적화 설정 방법 (0) | 2023.03.21 |
로지텍 K855 키보드 고무링으로 소음 줄이기 (0) | 2023.03.07 |
실무 개발자를 위한 최적화 기법 : 클린 코드의 기술 (파이썬 예제 포함) (0) | 2023.03.05 |
댓글